대선 패배에 文지지율 ‘뚝’.. 국민 72.8% “책임 크다” [쿠키뉴스 여론조사]

그래픽=이희정 디자이너

 

국민 다수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더불어민주당의 대선 패배 책임이 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과 민주당 지지율도 동반 하락했다. 

쿠키뉴스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가 지난 12~14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성인 1008명을 대상으로 ‘대선 패배에 대한 청와대의 책임 여부’를 물은 결과, 전체 응답자 중 72.8%가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이중 ‘매우 책임이 크다’는 38.5%, ‘어느정도 책임 있다’고 답변한 비율은 34.3%였다.

반면 ‘책임 없다’는 24.6%(전혀 책임 없다 11.0%, 별로 책임 없다 13.6%)에 그쳤다. 잘 모름·무응답은 2.6%였다. 

문 대통령에게 대선 패배 책임이 있다고 보는 경향은 전 연령대에서 나타났다. 60대 이상 77.5%, 30대 75.4%, 50대 73.8%, 18~29세는 73.5% 순이었다. 40대 역시 61.6%로 과반을 훌쩍 넘겼다. 

지역별로도 문 대통령에게 대선 패배의 책임을 돌리는 답변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부산·울산·경남(79.2%), 대구·경북(78.4%), 경기·인천(75.0%)에서 두드러졌다. 이어 서울(69.8%), 충청권 (67.7%), 호남권 (66.1%) 순이었다.

정치성향별로도 동일한 답변이 나왔다. 보수층 82.3%는 청와대가 민주당의 대선 패배에 책임이 있다고 응답했다. 진보층 61.2%와 중도층 74.7%도 마찬가지였다. 

그래픽=이해영 디자이너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도 대폭 하락했다. 같은 조사 대상에게 ‘대통령 국정 수행능력평가’를 조사한 결과, ‘잘하고 있다’는 긍정평가가 지난 3월 1차 조사 대비 7.7%p 하락한 40.1%(매우 잘함 24.2%, 다소 잘함 15.9%)에 그쳤다.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8.4%p 증가한 57.8%(매우 잘못함 39.2%, 다소 잘못함 18.6%)에 달했다. ‘잘 모르겠다’거나 답변을 유보한 응답자는 2.1%였다. 이로써 국정지지도 긍정·부정평가 격차는 17.7%p에 달한다. 지난 조사 격차(1.6%p)보다 대폭 벌어졌다.

세대별로는 40세대를 제외한 연령 전반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우세했다. 18~29세(긍정평가 36.6% vs 부정평가 59.3%), 30대(긍정평가 43.2% vs 부정평가 54.5%), 50대(긍정평가 43.7% vs 부정평가 55.4%)였다. 60대 이상에서는 부정응답이 71.5%를 기록했다.

다만 문재인 정부의 핵심 지지층으로 꼽히는 40대에서는 긍정평가(58.6%)가 부정평가(39.0%)보다 우세했다.

부정평가는 호남권을 제외한 대다수 지역에서 과반을 넘겼다. △대구·경북(77.0%) △부산·울산·경남(63.1%) △경기·인천(77.0%) △충청권 (57.1%) △서울 (53.0%) △강원 (51.9%)였다. 

그래픽=이해영 디자이너

 

정당지지율은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나란히 하락했다. 같은 조사 대상에게 정당지지율을 조사한 결과 민주당은 37.6%, 국민의힘은 36.3%로 집계됐다. 직전 조사 대비 각각 0.3%p씩 내렸다. 

이어 정의당 4.0%(0.7%p↑), 국민의당 3.9%(0.5%p↓) 순이었다. 기타 정당은 3.2%(0.4%p↑), 무당층(지지정당 없다+잘모름·무응답은 14.9%(0.1%p↓)였다. 

민주당 지지층은 주로 40대(51.2%)와 50대(44.4%), 호남권(69.4%), 진보성향(74.9%) 등이었다. 국민의힘은 60대 이상(53.0%), 대구·경북(49.8%)과 부산·울산·경남(39.1%), 보수성향(68.5%) 등에서 높았다. △18~29세 민주당 34.9% vs 국민의힘 40.6% △인천·경기 민주당 37.7% vs 국민의힘 37.5% 등에선 지지율이 오차범위 내 접전이었다.

이번 설문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방식(유선 전화면접 16.4% 무선 ARS 83.6% 무작위 RDD 추출)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6.1%,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 3.1%p다. 통계보정은 2022년 2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다.

최은희 기자 joy@kukinews.com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