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尹 취임사, 3번 밑줄 그으며 읽어보니..논문같아”


윤석열 정부의 첫 과제는 소통

떼만 쓰는 野…구시대적 발목잡기

尹 스킨십 부족…먼저 손 내밀어야

野 의도적 정계개편? 성공 어려워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2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이재오 (국민의힘 상임고문)

성공한 대통령, 성공한 정부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자세는 무엇인지. 풀어야 할 과제는 뭔지, 어떤 분의 얘기를 들어볼까 고민을 하다가 이분을 초대했습니다. 현직 국민의힘 상임고문이면서 당내 쓴소리 담당도 마다하지 않는 분이에요.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이야기를 들려주실 것 같아서 저희가 연결합니다. 국민의힘 이재오 상임고문 만나보죠. 이재오 고문님 안녕하세요.

◆ 이재오> 네, 안녕하세요.

◇ 김현정> 5년 만에 다시 여당이 되신 소감은 어떻습니까?

◆ 이재오> 나야 여당이나 야당이나 뭐. 정치인이라는 게 뭐. (웃음)

◇ 김현정> 어제 취임식은 어떻게 보셨어요? 고문님.

◆ 이재오> 난 원래 그렇게 요즘 코로나 형편에 성대하게 하는 걸 찬성하지 않았지만 어제 막상 하는 걸 보니까 모처럼 국회의사당에서 지신 밟는 그런 기분으로. 그게 이제 정말로 좋은 정치하는데 동력으로 그게 작용됐으면 좋겠어요. 그냥 형식만, 세레모니만 하는 게 아니고.

◇ 김현정> 그렇죠.

◆ 이재오> 좋은 정치를 하겠다는 다짐의 행사로 봐야죠.

◇ 김현정> 그렇죠. 특히 취임식에서 가장 하이라이트, 가장 많이 주목받았던 게 취임사 내용인데. 대통령이 직접 썼다고 해요. 취임사는 어떻게 들으셨습니까?

노컷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20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20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 이재오> 취임사… 좀 솔직하게 말해도 됩니까?

◇ 김현정> 솔직하게.

◆ 이재오> 하도 내가 쓴소리 한다고 하니까. (웃음)

◇ 김현정> 솔직하게 하셔야 다 살이 되고 피가 되니까요.

◆ 이재오> 그게 좀 논문 같았어요.

◇ 김현정> 논문이요? 연구 논문이요?

◆ 이재오> 네. 논문, 무슨 논문을 발표하나? 그런 생각을 했는데.

◇ 김현정> 무슨 말씀이실까요?

◆ 이재오> 그게 국민들이 취임사라고 하는 것은 국민들 마음에 확 와 닿아야 되는데, 지식인들 마음에 와 닿는 게 아니고 일반 국민 대중들이 아, 나라가 앞으로 5년 동안 진짜 잘 되겠구나, 저렇게 하면 우리 국민들에게는 어떤 이득이 있고 나라는 어떻게 돌아가고 진짜 잘 되겠구나, 이런 것이 피부로 확 와 닿아야 되는데. 이게 좋고 거룩한 말만 쭉 연결해 놔가지고 그게 국민들의 피부에 그렇게 와 닿지는 않았지 않았느냐. 이런 생각은 들기는 하더라고요.

◇ 김현정> 조금 어려웠다, 그 말씀이시군요. 관념적인 단어들이 많았다.

◆ 이재오> 너무 개념적이고 관념적인 말이. 우선 자유라는 말만 해도 내가 취임사 전문을 하나하나 세어봤는데 진짜로 35번 맞더라고요.

◇ 김현정> 35번 나왔어요. 자유, 이런 말은 어려운 말은 아니잖아요.

◆ 이재오> 그거는 몸에 와닿는.. 일상적으로 하는 게 국민들이 다 자유라는 말 모르는 사람이 누가 있겠어요? 그러나 그 자유의 실천적 과제가 몸에 와 닿아야 되잖아요. 자유라는 게, 그러니까 결국은 자유라는 게, 어제 취임사 핵심적 과제가 자유, 성장, 이런 거 아닙니까?

◇ 김현정> 맞습니다.

◆ 이재오> 그러니까 자유, 성장이라는 게 평등과 분배를 멀리 하고 그걸 제외하고 자유, 성장을 이룰 수 없잖아요. 자유와 성장과 평등, 분배, 이런 게 함께 이루어지려면 결국은 국민과 소통이 돼야 되잖아요.

◇ 김현정> 그렇죠.

◆ 이재오> 그렇잖아요. 그리고 또 국가의 주인이 국민이 되는 나라를 만들겠다, 이 이야기 했잖아요. 국가의 주인은 언제나 국민이죠. 항상 국민이죠. 옛날이나 지금이나 앞으로나. 그런데 국가의 주인이 국민이 되는 것을 방해한 사람이 정치인들이잖아요.

◇ 김현정> (웃음) 그거를 반대해 온 사람이 정치인들이에요, 방해꾼들이.

◆ 이재오> 그렇게 정치인들이 말은 국가의 주인이 국민이라고 해 놓고 맨날 국민을 소외시키고 억압하고 탄압하고 편 가르고 무시하고 그게 정치권이잖아요. 특히 권력을 가진 사람들의 행태가 말로는 국가의 주인이 국민인데 정치가 그동안 국가의 주인을 국민으로부터 배제시킨 짓만 했잖아요.

◇ 김현정> 그러네요.

◆ 이재오> 그러니까 국가의 주인이 국민이라는 걸 강조하지 말고 그러기 위해서 나는 정치를 어떻게 어떻게 개혁하고 국가의 주인이 국민이 되기 위해서는 정치, 경제, 사회 전반을 새롭게 어떻게 만들겠다 하는 내가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이 있어야 되는데 이런 것이 옳다, 이런 주장만 한 거잖아요.

◇ 김현정> 그런 부분이 좀 아쉽게 느껴지셨군요.

◆ 이재오> 그래서 내가 그 논문 같다고 한 이야기가 그런 거예요.

◇ 김현정> 그런 말씀.

◆ 이재오> 옛날에 잘 아시겠지만 아리스토텔레스도 이야기했지만 내가 남 인용하는 걸 좋아하지 않는데, 그러나 정치는 이론이 아니라 실천이라고 했잖아요.

◇ 김현정> 그렇죠.

◆ 이재오> 정치는 이론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그런데 어제 취임사는 이론만 이야기했지 실천적 과제가 좀 부족했다. 그렇게 내가 취임사를 세 번을 내가 밑줄을 그어가면서 읽었거든요.

◇ 김현정> 아유, 그러셨어요?

◆ 이재오> 왜냐 그럼 또 같은 편인데, 같은 편이 이야기하려면 뭐 좀 잘 읽어보고 해야지. 긍정적이고.

노컷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현정> 잘하셨습니다. 세 번을 읽고 분석해 보니 그런 점은 좀 아쉽더라, 그 말씀. 취임사가 이제 다가 아니고 그걸 바탕으로 해서 진짜 실천을 잘 하면 되는 건데.

◆ 이재오> 그런 거죠.

◇ 김현정> 그렇죠. 이제 뭘 잘하면 될 것인가에 대한 조언을 좀 듣겠습니다.

◆ 이재오> 첫째는 소통이죠.

◇ 김현정> 첫째는 소통입니까?

◆ 이재오> 소통을 하려면 방금 정치는 실천이고 정치는 현실인데 현실이 지금 녹록치 않잖아요.

◇ 김현정> 여소야대이죠, 일단.

◆ 이재오> 그렇죠. 우선 정치가 국회를 통해서 의회를 통해서 구체화되어야 되는데 의회는 현재 지금 신 여당이 됐으니까, 야당이 다수를 점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이 야당이라고 하는 것은 정상적인 야당이 아니잖아요. 완전히 떼쓰고 편 가르는 그런 야당들이니까 이 야당들이 신여당을 도와서 같이 하고 정말 공동체 정신으로 잘하겠다, 이런 야당이 아니고. 어떻게 하면 발목 잡고 반대할까, 이 생각만 하는 야당이잖아요. 그러니까 그 야당과 소통을 하려면 누가 해야 되겠어요. 야당이 먼저 나와야겠어요? 힘을 잡은, 권력을 잡은 여당이 먼저 나가야 되겠어요.

◇ 김현정> 보통 권력자가 손 내밀어야죠.

◆ 이재오> 권력 잡은 사람이 먼저 손 내밀어야 되잖아요. 그러면 대통령이 먼저 손 내밀어야 되잖아요. 대통령이 야당에 손 내밀고 진정하게 야당을 존중하고 야당을 같은 파트너로, 협치의 장으로 나오게 하고, 하는 것은 대통령이 소통을 강조하는데 소통의 핵심을 1차적으로 정치적 소통이니까 정치적 소통, 야당과 먼저 해야 되거든요. 야당을 제외해 놓고는 정치가 안 되니까. 그게 윤석열 대통령이 해야 할 첫 번째 과제죠.

◇ 김현정> 협치, 소통, 소통의 대상은 누구냐. 물론 당연히 국민들이 소통의 대상입니다마는 좁게 본다면 일단 정국부터 풀어야 된다. 야당이 소통의 대상이다. 그 말씀을 하셨어요.

◆ 이재오> 국민하고 소통을 하려면 야당이 저렇게 패거리 지어서 반대하고 드러누우면 국민과 소통이 안 되잖아요. 국민과 소통을 하더라도 국회가 넘어가야 되는데 국회가 저렇게 반대하면 국민과 소통을 할 수 없잖아요.

◇ 김현정> 지금 당선인 시절, 인수위 시절부터 이 정치권과 협치해 가는 모습, 풀어가는 모습 보면 어떠세요?

◆ 이재오> 그건 뭐, 아니, 지금 인수위 두 달 동안에 우리 대통령이 제일 먼저 해야 될 것은 야당 의원들을 만나고 야당 지도자들을 만나고 그 사람들과 술도 먹고 밥도 먹고 그 사람들과 어울려서 그 사람들이 인간적으로 대통령을 존중하게 만들고 아, 저런 생각을 갖고 있는 대통령이니까 우리 야당이 도와서 정말 나라를 제대로 하도록 해야 되겠다 이런 마음을 갖도록 하는 것은 대통령이 야당에 다가가야 되거든요. 그런데 그 인수위 그 중요한 황금 같은 두 달 동안에 한 번도 야당 의원들 하고 한 번도 술 먹었다는 못 들었고, 한 번도 만났다는 얘기를 못 들었잖아요. 그러니까 인수위, 그렇다고 인수위가 두 달 동안에 앞으로 5년 동안 국가 110가지 국정과제는 제기했지만 그거는 풀어가야 될 일들이고. 아, 5년 동안에 저렇게 하면 나라가 어떻게 되겠다는 비전을 하나 국민들에게 공감하는 것을 제시도 못했잖아요. 그러니까 인수위 두 달 동안에 지방은 많이 다니시고 했지만, 그러나 정말로 정국을 풀어갈 수 있는 뇌관에는 접근을 못했다 이렇게 봐야 안 되겠습니까?

노컷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러니까 계속 야당과 협치를 강조하시는 이유는 야당 잘 돼라라고 해서 꼭하는 얘기가 아니라 여당이 잘 되기 위해서 정부가 잘되기 위해서도 기본이다, 그 말씀인 거죠?

◆ 이재오> 당연하죠. 내가 뭐 골치 아픈 야당 잘 되라고 내가 이런 이야기를 하겠어요? (웃음)

◇ 김현정> (웃음) 알겠습니다.

◆ 이재오> 야당이 그렇게 해야 정국이 풀어지잖아요.

◇ 김현정> 끌어안지 않고는 안 된다. 방법이 없더라도.

◆ 이재오> 그렇습니다. 정치를 저도 좀 해 봤잖아요.

◇ 김현정> 해보셨죠. 오래 해보셨죠. 그런데 지금 일단은 국무총리 없이 새 정부가 출범을 하게 됐어요. 한덕수 총리 후보자 국회 인준이 안 되면서 윤석열 대통령 1호 안건이 한덕수 총리 임명동의 요청의 건이 됐을 정도입니다.

◆ 이재오> 그렇죠. 그걸 국회로 보냈죠.

◇ 김현정> 그렇죠. 거기다가 한동훈 후보자 야당에서는 절대 안 된다고 하고. 지금 대통령 측 분위기를 보면 반드시 할 것 같고. 이런 대치 상황 어떻게 봐야 됩니까?

◆ 이재오> 그것도 소통의 문제인데, 그것도 인수위 시절에 당선되자마자 정말 야당하고 인간적으로 스킨십을 했으면 야당이 저 난리를 안 칠 텐데. 그러나 저는 그 점은 야당도 물론 전례도 있습니다. 제가 초선 할 때 김종필 총리를 6개월간 인준을 안 해 주고 잡은 제가 장본인이잖아요.

◇ 김현정> 그러시잖아요. 진짜 잡으셨잖아요. 총리서리제가 오래 갔고.

◆ 이재오> 욕도 많이 먹고, 김종필 총리가 저보고 ‘이 의원 그만 좀 하지’ 하고 이야기를 했는데. 야당이 인준할 건 인준해 주고. 총리를 잘못하면 그때 반대하고 비판하고 해야지. 특별히 인준을 안 해야 할 사유가 없는데 정치적으로 전략적으로 총리를 붙들고 있는 것도 옳지 않고 또 총리하고 무슨 장관하고 결부시켜서 총리 인준해 줄 테니까 장관 누구를 낙마 시켜라든지, 장관 누구를 임명할 테니까 인준해 줄 테니까 총리를 낙마시켜라든지. 이런 것은 그거는 진짜 구시대적이죠. 그런 옳지 않고 물론 야당의 마음이나 국민의 마음이 흡족한 사람을 임명했으면 더 좋았겠죠. 그러나 한덕수 총리나 이런 분들이 거기에 국민의 마음에 썩 합당하지 않다는 것도 다 알 것 아닙니까? 그거를 임명하는 것도 잘못된 거지만 그러나 일단 대통령이 돼서 처음으로 내각을 꾸려서 나라를 잘해 보겠다는데 첫 번부터 저렇게 발목 잡으면 그것도 바람직하지 않죠. 저는 지금 야당의 태도가 옳지 않다고 봐요. 무슨 장관 둘을, 총리를 인준할 테니까 장관 둘을 낙마시켜라라든지 장관 둘 인준해 줄 테니까 총리를 낙마시키라든지 이런 정치는 그게 선진 정치가 아니잖아요.

노컷뉴스

[국회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회사진기자단]
◇ 김현정> 민주당이 그렇게 공식적으로 얘기한 건 아니라고 민주당은 얘기합니다만.

◆ 이재오> 물론 공식적으로 한 건 아니지만.

◇ 김현정> 연계는 아니다.

◆ 이재오> 정치권에서 다 아는 이야기입니다.

◇ 김현정> 다 아는 얘기입니까? 이재오 고문님이 옛날에 새로운 정부에 총리 인준 안 해 준 야당의 대표로서 ‘그때 그럴 게 아니었다’, 지금 그런 생각이 드시는 거예요?

◆ 이재오> 그때는 왜 그랬냐 그러면 김대중 정부가 우리가 야당 되자마자 하루아침에 국회의원들 34명인가 몇 명을 탈당시켜서 빼갔잖아요. 원래 민주당이라는 게 빼가고 쪼개고 이런 거 전문이잖아요, 옛날부터. 국회의원 꿔주고 이런 거. 그런데 그때는 그래가지고 우리가 김종필 총리를 6개월 간 인준을 안 하고 버텼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그게 잘못이요.

◇ 김현정> 잘못이에요.

◆ 이재오> 물론 그때는 김종필 총리가 서리 자격으로 일은 했지만 그러나 정부가 새로 출범하면 총리로 인준할 건 인준해 주고 그러면 총리가 잘못하는 걸 지적해야지.

◇ 김현정> 알겠습니다. 그거 부메랑으로 돌아옵니까?

◆ 이재오> 부메랑이라기보다는 지금도 생각해 보면 어쨌든 정부 출범이 처음부터 좀 제대로 나가야지. 처음부터 저렇게 발목 잡으면 피해가 국민들한테 오잖아요.

◇ 김현정> 알겠습니다. 지금 이 얘기가 나와서 갑자기 드는 궁금증인데 항상 여소야대 대통령은 정국을 이끄는데 고생이 많았고. 그러다 보니까 정계개편 시도를 늘 했어요. 늘 그런 시도가 있었어요. 이번에는 어떻게 보십니까? 가능성.

◆ 이재오> 이거요. 정계개편은 의도적으로 해서 성공한 예가 하나도 없고 한 번도 없습니다.

◇ 김현정> 의도적으로는.

◆ 이재오> 정략적으로 여소야대니까 야대를 깨려고 정계개편을 한다거나 또 여당을 흔들기 위해서 정계개편을 한다거나 이런 거는 한 번도 성공한 일이 없고. 지방선거 끝나고 나서 각 당의 지각변동이 일어날 수 있죠. 전당대회도 해야 되고 지방선거 성적에 따라서 왕래, 여야가 각 당내 어떤 균열이 올 수도 있고 또 대립이 올 수도 있으니까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정계개편이 되면 몰라도 .

◇ 김현정> 이번에는, 이번에는 가능성이 있다고 보세요? 쭉 위에서 보시면 어때요?

노컷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재오> 저는 거의 없다고 봅니다.

◇ 김현정> 아, 거의 없다고 보십니까?

◆ 이재오> 왜냐 그러면 이 대선에서 우리 당이 월등하게 이겼으면 정계개편 될 수 있으면 이게 47대 48이잖아요. 야당 지지도 만만치 않거든요. 그런데 야당은 자기네들이 똘똘 뭉쳐야 살아남고 5년 후에 정권을 되찾아온다, 이 생각이 머리에 박혀 있기 때문에. 더구나 2년 동안 자기네들이 야당 다수를 충분히 누려야 되니까. 절대로 야당이 분열되어서 정계개편 되거나 이렇게 하지 않고 또 정계개편이라는 것이 그게 정말로 정치 제도, 선거 제도를 고쳐서 선거법을 다당제로 해서 중대선거구제로 해서 정치지형을 바꾸면 정계개편이 되죠.

◇ 김현정> 알겠습니다.

◆ 이재오> 그런데 그것도 안 바꾸고 어떻게 되겠어요?

◇ 김현정> 오늘 말씀 듣다보니까 20분이 모자랄 정도네요. 오늘은 여기까지.

◆ 이재오> 문재인 대통령 이야기를 해야 되는데 시간이 없네.

◇ 김현정> 따로 한번 다시 모시겠습니다. 2탄으로. 이 고문님 고맙습니다.

◆ 이재오> 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CBS 노컷뉴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