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8% “현 정부 감염병 대응 신뢰 못해”

기사내용 요약
방역당국 신뢰도, 조사 이래 최저
브리핑 신뢰도·유익성 모두 하락
감염 가능성 상승, 심각성은 낮아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대본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2.03.07. ppkjm@newsis.com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국민 절반 가량이 감염병 대응 주체로서 정부를 신뢰하지 못한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순 서울대학교 교수팀은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국민 인식 조사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2일까지 6일간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허용 ±3.1%포인트다.

조사 결과를 보면 감염병 대응 주체로서 정부를 신뢰하느냐는 질문에 52.4%는 신뢰한다고 답했고, 47.6%는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정부 신뢰도는 코로나19 초창기였던 2020년 6월 59.1%, 2020년 10월 60.9%와 비교할 때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신뢰한다는 응답률 52.4%는 지난해 7월 52.2%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질병관리청과 보건복지부 등 방역당국을 신뢰한다는 응답은 63.3%였다. 이는 유 교수팀이 실시한 조사에서 가장 낮은 기록이며 2020년 6월 83%보다 약 20%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신뢰도의 경우 ‘의료진’이 80.6%로 가장 높았고 ‘과학 전문가’ 77.2%, ‘나의 이웃과 주변 사람들’ 55.9%, ‘기타 대부분의 사람들’ 45.9% 순이었다.

[서울=뉴시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보건의료정책실장)이 지난 1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비대면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보건복지부 제공) 2022.03.1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코로나19 정보에 대한 관심에 대해서는 84.3%가 관심을 기울인다고 답했으며 2020년 4월과 비교해 정부와 방역당국의 정례브리핑에 주의를 기울인다는 응답은 79.3%에서 35.6%로, 신뢰한다는 응답은 75.3%에서 37.6%로, 유익하다는 응답은 77.4%에서 32.8%로 각각 감소했다.

한국 사회가 코로나19 대응을 잘 했느냐는 질문에는 42.5%가 잘했다고 답했는데, 이는 지난해 10월 59.9%에 비해 17.4% 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분야별로는 보건의료 요소에서 대응을 잘했다는 응답이 56.2%로 가장 높았고 정당 및 의회 요소에서는 잘못했다는 응답이 34.3%로 가장 높았다.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은 27.8%가 ‘높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역대 조사 중 처음으로 20%를 넘은 최대 수치다.

반대로 감염 결과가 심각하다는 응답은 47.9%였는데 이는 설문조사 결과 가장 낮은 수치이자 처음으로 50% 아래로 떨어진 것이다.

단 오미크론 변이 우세화에 대한 우려 조사를 보면 77.6%가 우려된다고 답했다. 이 중 자녀가 있는 응답자는 83%가 우려를 표시했다. 자녀가 없는 응답자의 우려도는 55.1%였다.

유 교수는 “델타보다 매우 높은 전파력과 그에 비해 낮은 중증·치명률 등 오미크론의 바이러스 특징이 주관적 위험판단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방역당국이 소아·청소년을 위해 어떤 대책을 마련하고 추진 중인지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어린 자녀를 둔 학부모와 가족에 눈높이를 맞추며 어떻게 위기를 극복해 나갈 것인지를 소통하는 공감의 노력 등이 필요해 보인다”고 분석했다.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병의원 등 의료기관에서 신속항원검사 양성 판정을 받으면 추가 PCR검사 없이 확진자로 인정되는 첫 날인 14일 오후 제주 시내 한 병원에 진료를 받으려는 사람들로 붐비고 있다. 2022.03.14. woo1223@newsis.com

코로나19 위험의 사회적 통제 가능성은 36.6%가 ‘가능하다’고 생각했고 63.4%는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각각 가능하다는 응답은 역대 최저, 불가능하다는 응답은 역대 최고다.

응답자 52.6%는 마스크 착용, 백신 접종,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조치가 1~2년 더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이는 지난해 12월 조사 39.9%보다 증가했다. 반면 이 같은 조치가 2년 이상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한 응답자는 같은 기간 49.1%에서 19.2%로 줄었다.

백신 접종에 대한 태도로는 37%가 공동 책임, 23.6%가 개인의 자유라고 생각했다.

오미크론 변이 우세화 상황에서 필요한 방역 전략으로는 23.6%가 사회적 피해 최소화, 14.4%가 감염 억제를 꼽았고 48.1%는 둘 다 맞다고 생각했다.

재택치료 체계, 격리 단축, 위치 추적 폐지, 자기기입식 역학조사, PCR 검사 우선순위 등 달라진 방역 조치에 대해서는 타당성, 지속성 등이 모두 50% 이상의 동의를 받았다.

신속항원검사에 대해서는 정보를 제공받지 않았을 경우 54.2%가 정확할 것 같다고 생각했고 정보를 제공받았을 땐 51.4%가 정확하다고 답해 오히려 정보를 알고 난 이후 정확도에 대한 긍정적 비율이 감소했다.

유 교수는 “정부와 보건당국의 방역 정책은 감염 상황과 보건의료 현장의 여력에 따라 변화가 불가피하더라도, 국민을 향해서는 오히려 이전보다 더 국민의 현재의 경험과 필요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방향으로 방역 정보제공과 소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owest@newsis.com

답글 남기기